top of page

우리의 소망

본문: 욥 14:1-12 요절: 1, “여인에게서 태어난 사람은 생애가 짧고 걱정이 가득하며” 욥은 하나님 앞에 서면서 인생의 짧고 덧없음을 토로한다.

인생의 짧음을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지혜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인간 삶의 유한함과 고초와 애환에 대한 고찰은 성경에 가득하다. 이런 시간의 흐름과 육체의 쇠약함 그리고 죽음은 결국 우리 자신을 절대자이신 하나님 앞에 서게 한다.

욥도 성경의 지혜자들도 그리고 오늘 우리도 하나님 앞에 서는 이유는 동일하다.

물론 욥은 특별한 상황에 있었지만, 모두가 거의 비슷한 이유로 하나님께 나간다.

우리 모두에게는 하나님이 필요하다. 적용: 하나님의 긍휼과 은혜만이 유한하고 절망적일 수밖에 없는 인간에게 소망의 빛이 된다.

조회수 2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본문: 삼상 24:1-15 요절: 12, “여호와께서 나를 위하여 왕에게 보복하시려니와 내 손으로는 왕을 해하지 않겠나이다” 세상은 원수를 보복하는 일이 당연한 자신의 권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성경은 원수 갚는 것도 하나님께 속한 권한이라고 가르친다. 다윗은 세상에서 당연시하는 방식을 따르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하나님의 권위를 철저히 인정

본문: 삼상 20:12-23 요절: 23, “여호와께서 너와 나 사이에 영원토록 계시느니라” 요나단은 왕이 될 충분한 자질과 성품을 갖추었으면서도 욕심을 내지 않았다. 오히려 다윗이 왕이 되면 자신과 자신의 집안을 선대할 것을 부탁한다. 하나님의 뜻에 따르기로 결단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기로 결단한 요나단은 흔들리지 않는 모습으로 다윗을 위해

본문: 삼상 18:10-16 요절: 12, “여호와께서 사울을 떠나 다윗과 함께 계시므로 사울이 그를 두려워한지라” 인생을 살아가는 데는 두 가지 선택이 있다. 하나님을 따라 형통하게 사는 것과 하나님을 거역하고 저주 아래 사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세상의 즐거움을 마음껏 누리며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라 말한다.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과 뜻에 순종하여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