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상방식과 하나님의 방식

본문: 눅 6:27-38

요절: 27,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미워하는 자를 선대하며 너희를 저주하는 자를 축복하며”


자신과 우호적인 관계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러나 자신을 대적하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해 보인다.

그러나 예수님은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신다.

원수를 저주하지 않는 수준을 넘어, 원수를 위해 축복하는 기도를 하라 명하신다.

나는 어떤 원칙을 가지고 세상적 가치관과 싸우고 있는가?

세상의 원칙과는 전혀 다른 원칙으로 살아갈 때, 세상은 우리를 통해 하나님을 볼 것이다.


적용: 그리스도인은 세상의 방식대로 살아서는 안된다. 자기감정을 초월해 말씀에 순종함으로 원수까지 사랑해야 한다

조회수 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본문: 삼상 24:1-15 요절: 12, “여호와께서 나를 위하여 왕에게 보복하시려니와 내 손으로는 왕을 해하지 않겠나이다” 세상은 원수를 보복하는 일이 당연한 자신의 권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성경은 원수 갚는 것도 하나님께 속한 권한이라고 가르친다. 다윗은 세상에서 당연시하는 방식을 따르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하나님의 권위를 철저히 인정

본문: 삼상 20:12-23 요절: 23, “여호와께서 너와 나 사이에 영원토록 계시느니라” 요나단은 왕이 될 충분한 자질과 성품을 갖추었으면서도 욕심을 내지 않았다. 오히려 다윗이 왕이 되면 자신과 자신의 집안을 선대할 것을 부탁한다. 하나님의 뜻에 따르기로 결단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기로 결단한 요나단은 흔들리지 않는 모습으로 다윗을 위해

본문: 삼상 18:10-16 요절: 12, “여호와께서 사울을 떠나 다윗과 함께 계시므로 사울이 그를 두려워한지라” 인생을 살아가는 데는 두 가지 선택이 있다. 하나님을 따라 형통하게 사는 것과 하나님을 거역하고 저주 아래 사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세상의 즐거움을 마음껏 누리며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라 말한다.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과 뜻에 순종하여 사는

bottom of page